본문 바로가기
ETF 와 주식

삼성에스디에스 주가 특징 분석 - 삼성SDS 투자자 필독

by 쉬투 2022. 10. 12.
반응형

삼성SDS 분석

종목번호 018260, 삼성SDS 주가 특징 등을 분석해보겠습니다. 삼성에스디에스는 1985년 5월 1일에 설립되어 2014년 11월 14일에 상장되었습니다. 삼성에스디에스는 그룹사인 삼성의 관계사들을 대상으로 ERP(전사적 자원관리 시스템), MES(생산관리시스템) 등 IT 서비스 최적화 사업을 하고 있습니다. 삼성에스디에스의 기본정보를 살펴보겠습니다.

 

  • 시가총액: 8조 8,598억 원
  • 시가총액 순위: 코스피 33위
  • 배당수익률: 2.10% (2021.12)
  • 주요 주주: 삼성전자 외 10인 (52.84%), 국민연금공단 (6.73%), 자사주 (0.04%)
연간 / 단위(억원) 2019/12 2020/12 2021/12 2022/12(E)
매출액 107,196 110,174 136,300 168,275
영업이익 9,901 8,716 8,081 10,031
부채비율 34.14 33.47 41.29 41.01
자본유보율 17,320.14 17,986.52 19,086.39  

삼성에스디에스의 매출액과 영업이익을 보면 꾸준한 상승 없이 어느 정도 범위 내에서 움직이고 2022년 예상치에서는 성장할 것으로 보이고 있습니다. 이는 삼성에스디에스의 주요 고객사가 삼성 그룹 내의 관계 사이며, IT 서비스 시장의 확대가 있기 때문이라고 생각됩니다.

 

삼성SDS 주가 사업

삼성에스디에스의 사업부문은 IT서비스와 물류로 나뉩니다. 각 사업부문을 살펴보겠습니다

 

IT서비스 부문

 

1. SI (솔루션서비스, 업무시스템 구축 서비스, IT컨설팅 서비스)

 

-솔루션서비스: 스마트 팩토리, 업무 자동화 솔루션, AI, 블록체인 등 자체 솔루션을 개발하여 서비스 제공

Nexplant
(스마트팩토리)
설비보전, 공정제어, 품질검사, 자재물류 등 전체 제조 공정 최적화 솔루션
Brity Works
(AI / RPA)
AI 기반의 대화형 업무자동화솔루션
Nexledger
(블록체인)
금융, 제조, 유통등 산업 전반에 사용 가능한 기업용 블록체인 플랫폼
Brightics AI
(AI / 애널리틱스)
AI기반 빅데이터 플랫폼, 제조분야 생산송정 지능화, 클라우드 플랫폼 모니터링 지원
EMM, Nexsign
(엔터프라이즈 모빌리티)
생체 인증을 통한 모바일 보안, 차세대 보안 프로토콜을 통한 데이터 보호 등 보안 기능 강화 보안솔루션
Brightics IoT
(사물인터넷)
IOT 디바이스를 통한 데이터 수집 / 관리 / 분석 플랫폼

 

-업무시스템 구축 서비스: 기업의 경영관리, 마케팅, 고객관리 등 업무 정보시스템을 구축하는 IT서비스 제공

ERP 자재 / 구매, 생산, 물류, 재무 / 회계, 영업, 인사 등 전사적 자원관리 시스템 구축 서비스
BI / CRM 경영정보 통합, 데이터 기반 분석시스템 구축 서비스 (BI)
마케팅, 판매, 서비스 등 고객관리시스템 구축 서비스 (CRM)

 

 

-IT컨설팅 서비스

 

2.ITO 사업 (애플리케이션 아웃소싱, 데이터센터 인프라 서비스)

 

- 애플리케이션 아웃소싱 서비스: 정보 운영 서비스

 

- 데이터센터 인프라 서비스 (데이터센터, 네트워크, 보안)

데이터센터 IT인프라 운영에 적합한 건물에 기반 시설을 갖추고 정보시스템을 구축, 운영 관리하는서비스
네트워크 국내외 기업 본가와 관계사, 지점에 유뮤선 통신회선제공, 통신장비 운영 및 관리 서비스
보안 정보자산의 손실, 정보 유출을 방지하는 서비스

 

3. 클라우드 사업 (MSP, CSP)

 

- MSP 서비스: 클라우드 전환 / 구축, SaaS 구축, 클라우드 애플리케이션 운영

클라우드
전환 / 구축
기존 구축형 IT 인프라를 클라우드 환경으로 전환 하고 최적화된 애플리케이션을 개발, 마이그레이션을 수행
 SaaS 구축 클라우드 기반의 SaaS 솔루션을 기업의 요구에 맞게 설계, 개발하여 적용하는 서비스
클라우드
애플리케이션
운영
하이브리드 멀티클라우드 환경에서 개발, 테스트, 배포까지 자동화하는 통합 운영 서비스

 

- CSP 서비스: IT 인프라 서비스 제공

 

 

물류사업

해외 종속회사 중심으로 글로벌 4PL 서비스 제공

 

 

사업부문별 매출

사업부문 품목 매출액 (단위: 백만원)
2022년 반기
(제 38기)
2021년 반기
(제 37기)
2021년
(제 37기)
2020년
(제 36기)
IT 서비스 SI 818,288
(9.3%)
816,193
(12.9%)
1,641,240
(12.1%)
1,419,197
(12.9%)
ITO 1,623,390
(18.5%)
1,515,260
(24.0%)
3,124,619
(22.9%)
3,240,026
(29.4%)
클라우드 521,695
(5.9%)
428,802
(6.8%)
871,338
(6.4%)
655,227
(48.2%)
물류 5,823,303
(66.3%)
3,551,929
(56.3%)
7,992,805
(58.6%)
5,702,982
(51.8%)

 

삼성SDS 주가

삼성SDS 상장 이후 주가 (출처: 키움증권 HTS)

삼성에스디에스의 주가는 삼성그룹 오너 일가의 블록딜 이슈와 더불어 신저가를 갱신하는 등 지속적인 하향 추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하지만 삼성에스디에스는 국내 SI 업계에서 최고라 평가받는 기업이며  점점 커지는 클라우드 시장으로 인해 클라우드 부문의 매출 성장 역시 기대해볼 만합니다. 다만 삼성에스디에스가 좋은 실적을 보여 주가가 상승하기 위해서는 클라우드 부문의 성장뿐 아니라 삼성에스디에스의 매출 50% 이상을 차지하는 물류 매출도 지속적으로 상승해야 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삼성에스디에스 투자자라면 클라우드 부문의 매출 추이와 글로벌 경기에 주의하며 물동량 추이를 눈여겨보아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반응형

댓글